다공성 매질을 통한 폐수 여과에서의 병원성 세균의 감금과 제거(Retention and removal of pathogenic bacteria in wastewater percolating through porous media: a review)
- 전문가 제언
-
□ 자연계의 흐름에 따라, 폐수는 발생하기 마련이고 그 폐수는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화된다. 이때 어떤 과정을 거쳐 병원성 세균이 어느 정도 걸러지는지 여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점에 주안점을 두고 작성되었다.
□ 세균을 걸러내려면, 처음부터 감금하여 다음 단계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고 여과매질의 표면이나 과정에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 일차원적으로 세균을 감금하는데 있어서는, 여과매질을 이루는 입자의 크기가 중요하다. 어느 최적 크기보다 작아야 세균의 감금에 유리한 것이다. 세균의 크기와 모양 또한 이와 맞물려 중요한 요소이다.
□ 그 밖에도 물의 유속이나 매질 표면의 응고 정도 역시 중요하지만, 다공성 매질과 세균과의 결합을 통한 흡착은 아주 중요한 감금의 요소이다. 흡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또한 여러 가지이다. 온도가 높을수록 흡착도는 높아지며 물의 유속이 낮을수록 높아진다. 이온 결합력이 커질수록 높아지며 소수성이 강할수록 매질에 흡착도가 커진다. 주화성이나 세균 밀집도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 이미 들어온 세균들을 제거하는 과정에는 크게 생물학적 과정과 비 생물학적 과정이 있다. 생물학적 과정에는 세균의 종류에 따른 다양성이 있고 세균 주위의 여러 가지 미생물들과의 관계가 있다.
□ 비생물학적 과정에는 온도나 습도 산성도, 유기물질 등이 존재하여 세균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우리는 이러한 요소들과 폐수 처리의 과정을 잘 이해함으로서 폐수처리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Stevik, TK; Aa, K; Ausland, G; Hanssen, JF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38-6
- 잡지명
- Water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55~1367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