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질소의 무기질화: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도전(Nitrogen mineralization: Challenges of a changing paradigm)

전문가 제언
□ 식물은 공기 중의 질소를 직접이용하지 못하고 토양으로부터 암모늄(NH4+)이나 질산(NO3-)의 형태로 흡수한다. 미생물에 의해 고정된 질소는 식물이 흡수하여 탄수화물에서 유도된 유기물질과 결합하여 아미노산, 핵산 및 그 밖의 질소함유 유기물을 합성하며 이를 질소동화작용이라 한다.

○ 죽은 동식물의 잔해가 토양 중에 환원되어 토양 미생물에 의해 질소함유 화합물이 암모니아로 분해 되는데 이를 암모니아화 작용이라 하고 생성된 암모니아는 산소의 공급이 충분한 조건에서 질산으로 산화되고 이를 질산화작용이라 한다. 공기 중의 질소의 고정, 질소의 흡수 이용, 질소함유물의 무기질화 및 산화와 환원을 거치면서 질소화합물이 대기 중으로 이탈하거나 지층 아래로 유실되는 전 과정을 질소의 순환이라 한다.
- 질소의 무기질화는 질소함유 유기물이 무기물로 변화되는 것을 말하고 암모니아화 같은 것이다. 토양내의 유기 질소원은 식물, 동물, 미생물의 잔해, 낙엽 및 부식질 등으로부터 생성된다.
- 질소의 무기질화에 영향하는 인자는 일반적인 미생물 거동에 영향하는 인자와 같고, 질소의 농도, 질소의 절대필요량, 토양수분(60~80%), 토양산도(pH 5~8) 및 온도(30~60℃) 등에 영향을 받는다.
- 질소의 불용화는 무기 질소가 미생물의 활동에 의하여 동화하는 과정으로서, 주 영향인자는 탄질율(C/N 비)과 에너지원의 가용성이다.

○ 질소고정에 관여하는 미생물로서 박테리아, 방선균 및 균류 등과, 호기성, 혐기성 및 임의성 혐기성(facultative anaerobe)미생물, 화학에너지 활용미생물, 광 에너지 활용미생물, 콩과 식물공생 미생물, 독립영양미생물, 종속영양미생물 등이 있다.

○ 질소의 무기질화는 고전적 질소순환의 중심을 이루고 있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른 세포외 효소추진 질소순환은 마이크로 사이트를 가정하고 이와 depolymeraization 및 단량체의 방출이론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바, 국내 관련학계에서 새로운 이론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Schimel, JP; Bennett, J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85-3
잡지명
E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91~602
분석자
서*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