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체에서 마이크로입자의 자기이동과 전자기이동(Magnetophoresis and electromagnetophoresis of microparticles in liquids)
- 전문가 제언
-
□ 살아있는 셀, DNA 및 단백질 분자는 응집체 또는 마이크로입자를 형성하는 기능을 나타낸다. 실제로 생물입자들은 각각의 약간씩 다른 개개의 특성을 갖지만 보통 분리방법들로는 개개의 입자들을 분석할 수는 없다. 작은 이온들과 분자들을 분리 또는 이동 분석법하는 HPLC와 CE이 개발되었지만, DNA와 단백질들의 큰 분자량 마이크로입자들에 대하여는, 침강과 셀 분류와 같은 방법들만이 현재 이용가능하다.
□ 액체에서 개개의 생물입자들을 분리하고 특성규명 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원리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두 가지 모두 이동을 일으키기 위하여 자장을 사용하는, 자기이동과 전자기이동은 단일 생물-마이크로입자들에 대하여 유망한 새로운 이동분석기법들이다. 자기이동법에는 장-흐름분류법(FFF), 갈라짐-흐름박(SPLITT)분류법, 원통형-대칭 SPLITT 분류법 및 입자추적 속도측정법(PTV) 등이 조립되어, 세포분석과 분류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 초전도 자석을 사용하여 10T 까지 높은 자기장에서 모세관흐름 계에서 전자기이동의 관찰을 위한 장치를 사용하여, 폴리스티렌(PS), 탄소, 효모균세포들 및 적혈구들(RBCs)과 같은 마이크로입자들의 전자기이동 속도들이 측정되었다. 전자기이동 힘은 그 입자들과 연결된 실리카 모세관 벽 사이의 흡착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 전자기이동 힘에 의해 한번 흡착된 입자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반대의 전자기이동 힘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입자들을 탈착하는데 필요한 전류세기가 측정되면 그 흡착력이 계산된다.
□ 전기이동 또는 전기영동이라고 하는 분리기법만이 DNA와 단백질 분류에 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액체에서 세포들과 큰 DNA같은 생물입자들의 마이크로-분리 분석에서 대단히 유망한 특성들을 갖는 자기이동과 전자기이동의 기본원리, 장치조립법 및 응용법 등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 장치를 직접 조립하여 활용하면 생물학, 화학, 생화학 및 의학 등의 연구개발에 획기적인 도약이 기대될 것이다.
- 저자
- Watarai, H; Suwa, M; Iiguni, Y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378-7
- 잡지명
- ANALYTICAL AND BIOANALYTICAL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693~1699
- 분석자
- 여*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