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관리기법의 도입과 ISO 시스템(Implementing ISO 9000: performance improvement by first or second movers)
- 전문가 제언
-
□ 새로운 관리기법의 도입은 기업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하며, 기업의 기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도입하기 전에 충분한 검토와 타 경쟁자가 도입하기 전에 회사의 특성에 맞게 개선/개발하여야 더욱 많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
□ 많은 기업들이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든지 타의 압력에 의해서든지 새로운 관리기법, 예를 들어 적시생산방식(JIT), 전사적 품질관리(TQM), 통계적 공정관리(STC), ISO 9000과 같은 관리기법을 기업의 경영혁신을 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의 성공을 위해서는 내/외부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 ISO 9000 QMS는 2000년 12월말 기준으로 158개국에 408,631개의 인정서가 교부되었으며, 우리나라에도 2003년 1월 현재 전 산업분야에서 21,700여개의 업체가 인증을 받을 정도로 확산되어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인증을 받은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의 성과에 기여하는 소수의 적극적인 업체를 제외하고는 지속적인 관리가 되지 않는 인증 자체만을 만족하는 경우로 이는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별도의 검토나 검증을 거치지 않은 상태로 인증을 받은 결과이다.
□ 새로운 관리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은 선도업체 또는 후발업체의 구분 보다는 지속적인 관리와 개선의지를 가지고 자사 혹은 타사, 제3자의 경험과 지식 관리기법을 얼마나 도입하여 소화하고 적용하는가에 따라 성공 여부가 결정되어 진다.
- 저자
- Eitan Naveh, Alfred Marcus, Hyoung Koo Moon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2-9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43~1863
- 분석자
- 하*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