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질 섬유소 가수분해물 해독(Alternatives for detoxification of diluted-acid lignocellulosic hydrolyzates for use in fermentative processes)
- 전문가 제언
-
□ 유기성 폐기물 처리의 주요 수단인 매립은 매립을 위한 토지의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 그 유지 관리에도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든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들을 효율적으로 감량화 하기 위하여 폐기물의 재활용이나 폐기물을 자원화하기 위한 시도는 점차로 그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박테리아를 이용한 발효방법은 유기성 폐기물의 감량화를 만족함과 동시에 연료나 화학제품 등 고부가 가치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시켜 고부가 가치성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용성 당으로 전환시키는 가수분해 공정이 필요하다. 가수분해는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와 산 가수분해의 두 가지로 크게 구분되며, 효소에 의한 방법은 매우 구체적이고 높은 수율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원료의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며 비싼 효소의 가격 때문에 공정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반응시간이 길며 복잡한 반응과정 때문에 좋은 품질을 요구하는 상품생산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량 생산에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 산 가수분해 공정은 고농도 산-저온 과정과 저농도 산-고온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고농도 산을 이용할 경우 저온(100℃ 이하)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생성된 당의 분해가 거의 없어 높은 수율과 깨끗한 가수분해물을 얻을 수 있으나 사용된 산의 재생이나 중화에 필요한 비용이 많이 든다. 저농도 산을 사용할 경우 고온(180℃ 이상)에서 반응시켜야 하며 그 장단점은 대략 고농도 산- 저온 과정과 상반되며, 이들 두가지 방법 사이에서 최적의 조건을 찾아 응용해야할 것이다.
□ 유기성 폐기물 중 당으로 변환될 수 있는 탄수화물 성분으로는 전분류와 섬유소류가 있다. 전분류와 섬유소류는 가수분해 시 열분해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불필요한 부산물의 생성을 최소화시키면서 당전환율을 최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최적 전환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Mussatto, SI; Roberto, IC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93-1
- 잡지명
- Bioresource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10
- 분석자
- 곽*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