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혈액종양에 타가줄기세포 이식후 세포면역치료(Cellular immunotherapy after 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hematologic malignancies)

전문가 제언
□ 사람의 면역체계는 자신이 아닌 것(non-self)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어 바이러스나 외부의 단백질에 접하게 되면 반응하게 된다. 그런데 혈액종양환자에게는 수혈이나 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자가이식에는 한계가 있고 조직적합성 검사를 통해 타가이식을 수행하는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혈액에 줄기세포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식은 이식편대숙주병 같은 부작용을 낳기도 하여 이식 후에 관리가 중요한 과제이기도 하다.

□ 백혈구나 혈액 조성모세포의 기증은 주로 조직 적합항원인 사람의 백혈구 항원(HLA)이 같은 형제ㆍ자매나, 서로 인척관계는 없어도 HLA가 맞는 경우, 또는 가족 중에 HLA가 반은 같은 사람한테서 받고 있다. 여러 가지 면역관련 세포가 가담하고 있으며 림프구는 물론 T 세포와 T 세포 클론, 킬러 세포(killer cell)와 킬러 T(killer T) 세포 등 특정한 종양에 대해 항체를 가진 효과인자(effector) 세포와 수지상 세포(Dendritic cells) 등을 들 수 있다.

□ 수지형 세포는 면역체계의 파수꾼으로 생각되며, 골수에서 유래하여 비임파 조직에 산재해 있으며 외부 항원을 붙들어 세포 표면에서 펩티드복합체로 노출시켜 자연 킬러 세포(natural killer cells)를 활성화 시킨다. 림프구를 기증받아 수혈한 환자에 대한 병의 재발과 키메라에 관한 연구와 수지 세포에 항원을 표적하여 혈액종양에 대응하려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 면역치료방법은 타가의 줄기세포와 림프 세포이식으로 백혈병에서 야기되는 거부반응은 감수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세포 이식 때문에 오는 거부반응과 항원의 표적에 대한 구체적인 기전을 이해한다면 백혈병은 물론 다른 혈액 악성종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저자
Kolb, HJ; Simoes, B; Schmid, C
자료유형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4
권(호)
16-2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ONC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67~173
분석자
강*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