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에서 면역치료법의 최근 동향(Current developments of immunotherapy in the clinic)
- 전문가 제언
-
□ 암은 면역반응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은폐하는 기전을 가진다. 따라서 어느 한가지의 치료요법만으로는 효과적인 임상적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복합사용할 수 있는 최적의 조합을 찾아 접근하는 것이 암 치료를 위한 중요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암의 정확한 발병 기전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면역요법 시 그 용량과 투여 스케줄을 결정하는 문제도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인체의 면역시스템은 매우 정교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상호 긴밀한 신호전달에 의해 작동하기에 면역요법치료제의 투입은 어떠한 형태로든 면역체계를 일단은 교란할 수밖에 없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면역체계의 민감성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항종양반응 T세포를 이식할 때 isogenic한 T세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환자 자신 것과 동일한 T세포가 요구된다는 의미이고 이에 대한 가능성은 세포복제 기술에 의존하여 풀어갈 실험실적 실마리가 이제는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충분한 잠재력을 미래에 보여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해 본다.
- 저자
- Antonia, S; Mule, JJ; Weber, JS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16-2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30~136
- 분석자
- 유*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