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형성 줄기세포(Haemopoietic stem cells)
- 전문가 제언
-
□ 줄기세포는 신체의 모든 조직과 기관을 만들어 내는 기본적인 세포로 조직 내에서 증식을 계속하며 특정한 조건하에서 분화하여 뼈, 뇌, 근육, 피부 장기 등 모든 신체기관으로 전환할 수 있는 세포이다.
□ 이리한 줄기세포에는 수정란이 첫 분열을 시작하여 배가 만들어지면서 포배 안에 있는 분화의 만능성을 가진 배아 줄기세포와 성숙한 조직과 기관 속에 남아서 증식하고 분화하는 다기능의 성체줄기세포가 있다.
□ 이러한 세포를 활용하여 손상된 조직을 복원하기위해 최근 수년 동안 줄기세포가 갖고 있는 발생, 증식, 재생, 기능 그리고 재현성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그 중에서도 혈액형성 줄기세포(haemopoietic stem cells, HSCs)에 대한 관심은 학술적으로나 임상적으로 가장 활발하며 의학적 적용에도 큰 기대를 갖고 있다.
□ 배와 태아기에 혈액을 형성하는 체계가 발달하는 과정에 있어 줄기세포의 pool이 내피세포층에서 일어난다는 데는 공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줄기세포 군집의 소생이나 활동에 관여하는 유전자와 발현의 윤곽이 밝혀지고 있다.
□ 실험실에서 혈액형성 줄기세포가 늘어나고 계통에 따라 분화하는데도 전사인자, 세포막을 드나드는 단백질이 배의 발달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도 밝히고 있다. 혈액형성과정은 반드시 계통적인 발달과정만이 아니고 때로는 혈액형성 이외의 세포로 바뀔 수도 있다는 생각도 있다.
□ 이 논문에서는 혈액형성체계의 개관과 혈액형성 줄기세포를 치료에 활용하기위해 재현성(plasticity)과 자체재생(self-renewal) 그리고 혈액형성 줄기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대한 기전을 검토하고 있다.
□ 지금도 혈액세포의 이식이 필요한 사람은 어느 나라에서나 많으며 미국에서도 필요한 환자의 약 25%만이 혈액이나 골수 이식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줄기세포의 연구는 꼭 필요하지만, 그와 동시에 윤리적인 문제도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 저자
- Bellantuono, H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36-4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07~620
- 분석자
- 강*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