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전극의 발전 동향(Recent developments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electrodes)
- 전문가 제언
-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상업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은 촉매로 사용되는 Pt의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데 있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Pt의 양을 감소시키고, 사용된 Pt의 효율을 최대한으로 높이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사용하는 촉매인 고가의 귀금속 Pt의 양이 4~10mg/cm2에서 0.4mg/cm2로 낮아진 것은 1980년대 기체 확산층에 Nafion의 도입과 아울러, 반응이 일어나는 3상 공존 면적을 증가시킴으로 가능해졌다.
□ 1990년도에 들어와서는 촉매층에서 일어나는 flooding을 일으키는 물의 양을 제어하고, reformer로부터 제공되는 연료에 미량 존재하는 CO에 의해 사용된 촉매의 활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Pt에 기본을 두고 CO 저항성이 있는 Pt alloy계 새로운 촉매를 개발함으로써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본 보고서는 지금까지 개발되어온 촉매층의 전극 개발 동향 및 기체 확산층 및 CO에 저항성이 있는 촉매개발에 대한 연구를 정리한 것으로, 전극의 개발 동향 및 중요 요소 등 앞으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상업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국가의 역량이 집중되는 연료전지 자동차 및 대체 에너지에 대한 범국가적 차원에서의 보조를 통해 연구자들이 연료전지용 소재에 대해 보다 새로운 개념의 연구 개발을 한다면 국민소득 2만불 시대에 맞춰 선진국 대열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Antolini, 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34-6
- 잡지명
-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563~576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