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체윤활제의 사업화와 전개과정(Tribology in Enterprisation, New Local Industry and Venture Company Explanations : History of Business Development for Solid Lubricants)

전문가 제언
□ 현재 미국과 일본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체윤활 기술을 일반 기계장치로 확대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접착형 고체윤활제 기술에 내 부식성과 같은 환경친화성까지 고려한 고 부가가치형 고체윤활제 기술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고체윤활제 분야의 연구는 기술 적용 분야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국내에서는 공업화 및 학술적 연구개발이 거의 전무한 상태로서 그동안 국내에서는 외국의 선진 업체로부터 고체윤활제 제품을 전량 수입하던 실정이었으나, 최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등을 중심으로 하는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고체윤활제 제품을 개발하는 데 성공하여 수입대체 효과 뿐 아니라 미국 등 주요 선진국으로의 역수출까지 달성하고 있다.

□ 고체윤활제를 함유하는 제품의 수명은 고체윤활제의 소비와 도입성, 부착성에 관계된다. 그러므로 부착성과 도입성을 개선하는 것이 고체윤활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점이다. 고체윤활제의 응용범위를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고체윤활의 작용 기구를 해명하고 새로운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실험과 실용화가 요구되며 고체윤활제를 함유하는 제품의 장수명화가 필요하다.

□ 최근 각종 산업설비에 고도의 성능향상과 가혹한 윤활조건이 요구됨에 따라, 세라믹 바인더를 사용한 고온용 이황화 몰리브덴계 윤활피막의 적용연구, 윤활과 병행사용이 가능한 고체윤활 피막개발 등의 수요자 지향형 고체윤활 피막 핵심기술 개발, 마멸입자 제어를 통한 고체윤활 박막의 마찰 마멸 특성 연구 등의 마찰저감 핵심기술 및 고체윤활성과 내부식성을 겸비한 복합형 고부가 가치형 피막 개발 등에 보다 많은 관심과 투자가 필요하다.
저자
Masao KAWA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9(3)
잡지명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93~199
분석자
조*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