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야를 넓힌 인간형 로봇 -조립 도구로 만드는 세계 최초의 로봇
- 전문가 제언
-
□ 인간의 자율성과 로봇의 범용성을 결합시킨 휴먼-로봇 시스템(Human- robot system)에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인간과 로봇의 능력 및 구조를 함께 추구하는 로보틱스와 관련되어 있으며, 로봇에게 신속․정확하게 작업을 시키고 인간조작자(유저)에게 소요되는 힘과 노력을 최소화하는 인간중심의 로봇 시스템이다.
□ 직교좌표 로봇에 이용되는 것이 직교좌표계이고, 관절좌표 로봇에 이용되는 것이 관절좌표계이다. 다시 말해서 구좌표 로봇에서 X축에 해당하는 선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꾼 것이 관절좌표 로봇이며, 가장 다 양한 기능과 넓은 작업영역을 가진다. 또한, 이 로봇은 매우 유연하고 복잡한 작업에 이용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이 어렵다.
□ 이렇게 축을 직교화하느냐 하지 않느냐 하는 것은 로봇 제작시 커다란 분수령이 된다. 축을 직교화하는 직교좌표계에 의한 직교좌표 로봇은 제어가 단순하므로 소프트웨어 개발이 쉬우나 그 기계적 구조는 복잡해진다. Robovie-M은 축을 직교시키지 않고 관절좌표계의 활용으로 그 기계적 구조를 단순화했으며, 튼튼한 로봇 몸체를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Robovie-M은 휴먼-로봇 시스템의 일환으로서 관절 로봇의 구조와 특징을 겸비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서 대학이나 고교에서 로봇 관련기술의 교재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이처럼 인간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미래지향적 휴머노이드 로봇을 완성시키기 위하여 꾸준히 개발노력을 경주해 나가야 하겠다.
□ Robovie-M은 완성된 형태가 아닌 조립 키트로 판매하고 있어 유저가 스스로 로봇의 동작을 설정함으로써 세계 유일의 로봇을 만들 수 있고 로봇에 대한 친근감과 애착심을 고취하는 면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되겠다.
- 저자
- Hayaishi Datahir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5(3)
- 잡지명
- Tool engineer(B2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94~99
- 분석자
- 이*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