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담금질한 강의 가공을 연삭에서 절삭으로 대체 가능한 cBN 칩

전문가 제언
□ 연삭가공은 피 가공물설치 시간이 실 가공에 비하여 많은 비율을 차지하여 이의 단축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고, 절삭가공에 비하여도 준비시간의 비율이 크다. 또 연삭가공은 원패스당의 절삭 깊이가 적어 많은 패스가 필요하여 가공시간이 절삭가공에 비하여 길다. 따라서 연삭가공의 절삭가공으로의 전환은 부품가공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된다.

□ 종래는 절삭가공용 공구를 재연삭하여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전용 생크에 1회용 바이트 팁(throwaway)을 사용함으로서 공구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킴은 물론 공구교환 후의 정밀도도 크게 향상시키고 있다. 또 바이트 팁의 장수명화를 위하여 바이트 모재표면에 DLC, PVD, CVD 등의 코팅을 하여 장수명화에 성공하고 있다.

□ 일본의 SMITOMO DENKO Hard metal Co. Ltd는 스미보론(상품명)BNC시리즈의, BNC80, BNC150, BNC200을 개발하여 종래는 연삭으로 가공하던 담금질 강을 BNC시리즈의 바이트 팁을 사용하여 시험 절삭 가공한 결과 양호한 결과를 얻어 시판하게 되었다. 스미보론 BNC시리즈의 특징은 cBN(입방정 질화붕소는 경도, 열전도율이 다이아몬드 다음으로 높고, 다이아몬드에 비교하면 철 계 물질과 반응성이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을 TiN이나 TiC를 베이스로 한 결합재로 소결하여, cBN소결체 스미보론(SMITOMO Boron)을 개발한 것이며, cBN소결체 표면에 피 절삭재의 절삭조건에 맞는 재질을 코팅하여 공구의 장수명화와 공구 표면의 마모를 매우 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담금질 강의 경도는 HRc 50~60으로 이를 절삭가공으로 높은 정밀도를 낸다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며, 바이트 팁 커터에서 발생하는 열로 커터가 쉽게 마모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스미보론은 이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는 공구를 개발한 것에 대하여 찬사를 보낸다. 최근 유럽에서는 담금질 강의 절삭가공에 드라이 가공(건식가공)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평균 절삭속도도 200m/min에 이르고 있다는 보고도 있어, 장래 연삭가공의 특징인 고정밀도 가공영역이 절삭가공으로 많은 전환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절삭공구 코팅기술 개발에 힘쓸 것을 기대하는 바이다.
저자
Shirakura,Yasuhik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04
권(호)
45(3)
잡지명
Tool engineer(B2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8~73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