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용 위생 가스켓 없는 관 이음
- 전문가 제언
-
□ 식품이나 의학품 및 반도체 등 청정을 요하는 위생배관에서는 세정이 용이하고, 분해조립과 점검이 쉬우며 위생적인 재료와 아울러 특징에 따른 배관설계가 중요하다.
□ 특히, 최근의 식품제조 사업은 다품종 변량 생산 추세로서 이를 위해 배관 내부에 찌꺼기가 남지 않는 설계로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배관 설계가 요구되는데, 일부에서는 Pig장치를 도입하기도 한다.
□ 위생배관 이음에는 플랜지보다 ISO클램프나 유니온 조인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Ferrule에 배관을 넣어서 확관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용접을 하고 있으며, 가스켓은 본문의 NBR, EPDM 외에도 실리콘이나 테프론 등이 사용유체에 따라 적합하게 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 그러나 본문의 지적대로 배관 연결부의 가스켓 교체에 많은 경비와 시간이 소요되며, 위생적인 부분 역시 현장에서의 해결 과제였다.
□ 가스켓이 없이 탄성 변형으로 기밀효과를 얻는 신형 관 이음의 출현은 이를 충분히 해결해 줄 수 있다고 생각되는데, 신형 관 이음으로의 교체 시 현단계에서는 고가의 제조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표준화된 제품으로 대량생산 시에 코스트 다운으로 경제성이 확보된다면 기존제품을 충분히 대체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 저자
- Nao-Aki No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6(5)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0~19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