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재를 이용한 평기어의 성형
- 전문가 제언
-
□ 스퍼기어는 단조 가공 시 높은 가공압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금형의 파손이나 변형, 마모 등이 정밀도 저하로 이어져 낮은 가공압력으로 성형하는 정밀단조법의 개발 진행과 발맞추어 안전한 스퍼기어의 금형설계를 제안하고 있다.
□ 자동차 공업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판재성형은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쳐 성형이 이루어지는데, 이 공정들이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정 및 금형을 설계하기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재성형 공정이나 금형 설계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방법과는 거리가 먼 개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시행착오법이 고수되고 있는 실정이다.
□ 냉간 단조용 스퍼 기어의 치수 정밀도 향상을 위해서는 단조공정시 금형과 단조품 간에 발생되는 치수 차이만큼 표준기어 치형 곡선을 변형하여 계산된 기어 인벌류트 곡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정된 치형 곡선의 설계를 위해 필요한 금형과 단조품의 치형 변화, 그에 미치는 영향을 단계별 치형 변화를 분석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 금형산업의 중요성은 제조 산업을 뒷받침하는 생산기반산업이며 동 산업과의 연결고리는 국가관련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지만 단품생산, 수주산업이라는 특성 등으로 인해 발전이 저해 받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전략적으로 금형산업의 기여가 필수적이며, 금형기술의 발달과 함께 국내 제조업의 미래가 달려있다는데 인식을 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Ukihiko Uchid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7)
- 잡지명
- JFA(N25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37~46
- 분석자
- 이*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