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개환중합과 해중합 : 화학적 고분자 리사이클의 가능성
- 전문가 제언
-
□ 화석연료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온실기체인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들에 의해 산성비가 내려 환경 문제를 일으키고, 사용한 프레온 기체에 의한 오존층 파괴 등으로 지구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 지구환경파괴를 억제 하는 방법으로 주로 CO2를 감소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그 방법으로 CO2 고정화와 탄소 원료의 자원으로 하는 화합물 제조에 유기화학자와 고분자 화학자들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한 소재들을 재생 하는 방법이 있는데, 실제 재생 과정이 오히려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은 보다 관심을 갖고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 본 논문은 고분자 화합물이 재생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각종 환상(고리상)(各種環狀) 단량체류(spiro orthoester, bicyclo orthoester, cyclic carbonate, cyclic sulfite)의 개환중합거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또 그들의 평형중합거동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로부터 재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고분자에서 단량체로 해중합, network 고분자에서 가용성 고분자로 변화하는 가능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는 CO2 감소를 위한 목적보다는 오히려 산업 폐기물을 재활용한다는데 더 큰 목적이 있다고 생각된다.
□ 우리가 사는 지구의 유한한 자원을 생각할 때 화학적 재생을 하여 원료를 확보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우리 과학자들이 하여야 할 일은 보다 적은 에너지로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와 애초부터 원료 제조과정에서부터 보다 나은 효율로 재생 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을 위하여 연구 할 필요가 있다.
□ CO2의 감소방법으로는 현 상태에서는 산림 면적을 늘리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이나,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오히려 산림을 훼손하여 일어나는 사막화를 막는 일이 정책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저자
- Takeshi End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4(3)
- 잡지명
- 미래재료(J4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8~14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