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석에 부착되는 투명유리 : 희토류 산화물을 다량 함유한 유리(Transparent glass gravitated to Magnet : The glass containing much rare earth oxides)

전문가 제언
□ 유리에서 볼 수 있는 자기광학적 효과 중 전형적인 것이 Faraday 효과이며, 자장 중에 설치된 투명물질을 자장에 평형 되게 입사된 직선편광의 편광면이 θ=VBL에 따라서 회전하는 현상으로 물질의 고유정수인 Verdet(V)로 나타내고 V가 반자성이면 정(正), 상자성이면 부(負)의 값을 나타낸다.

□ Faraday 회전유리는 납을 많이 함유한 고연유리로 대표되는 반자성유리와 희토류산화물을 다량 함유한 상자성(常磁性) 유리가 있다.

□ 반자성유리의 Verdet 정수는 상자성유리에 비하여 그리 크지는 않지만 온도변화가 크게 작용하는 환경에서 사용하는 소자(素子)로서는 반자성유리가 적용된다. 특히 Verdet 정수가 온도에 반비례하므로 온도변화가 큰 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의하여야한다

□ 이 유리는 광 isolator와 파이버 자기센서, 레이저 장치 등 광통신분야에 이용되며 일부 상용화되어 시판되고 있다.

□ 특히 유리의 주요한 특성이 투과율이 높으며 투명성을 갖는 것인데 자화유리에서도 투명성을 가지면서도 자석처럼 부착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 소재의 또 다른 면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유리 재료 특성상 큰 진보는 기대되지 않으나 어떤 형상을 만들기 용이하다는 점과 투명하며 가시영역에서 투과율이 있다는 점을 이용하면 새로운 용도에 맞는 투명한 자성재료의 시장이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저자
Naruhito Sawanobori ; Naoko Mori ; Dai Imaizum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3
권(호)
18(4)
잡지명
New glass(F08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9
분석자
김*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