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실란을 이용한 광통신 부품용 재료의 개발과 응용 전개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일본의 기업체 연구소에서 자기회사연구소에서 개발한 광통신 부품재료를 기존재료의 내용과 또 다른 연구소에서 개발한 것들을 종합해서 비교 Review한 내용이다. 인용한 문헌의 내용은 저자가 거의 일본인의 것 이다.
□ Polymethylphenylsilane은 광화학반응을 일으켜서 -Si-Si-의 결합을 가지는 결정체의 구조로 변하고, Polysilazane은 중합반응에서 -Si-O-Si-O-의 격자결합의 결정체를 얻는 것에 착안하여 이 연구가 수행되었다고 본다. 전자는 반도체이고 후자는 유전소재 이다. 말하자면 반도체와 유전체를 혼합한 소재라고 볼 수도 있다. 저자의 연구 아이디어와 사물을 관찰하는 접근방식이 매우 뛰어나고 그 결과도 높이 평가할만하다. Polysilane, Polysilazane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 2물질을 혼합해서 박막증착을 하고 있는 연구실은 드문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의 내용은 아직 산업화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고 앞으로 광통신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할만한 자료들을 내놓고 있다.
□ 소재 특히 결정성을 가지고 있는 소재는 소재자체의 특성은 물론이지마는 뛰어난 Device기술이 있어야한다. 이 논문의 내용에서도 구체적으로 언급이 되어 있는데 PMPS/PHPSz복합체를 이용한 광도파로파장Filter의 빼어난 설계기술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넓은 파장영역에서 세분화된 파장을 선택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광도파로의 설계는 원자수준의 설계와 같기 때문에 이 분야의 집중적인 지원이야말로 21C의 광통신분야에서 중심에 서는 길이 될 것이다.
- 저자
- Hiroshi Mataki ; Shigeru Yamaki : Tsuyoshi Fuji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0(4)
- 잡지명
- Plastics age(D0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08~112
- 분석자
- 박*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