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세스계 광통신망 모니터링기술의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전화, 팩시밀리, 인터넷 등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정보통신 인프라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확장된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운용․보수 기술도 함께 개발되어야 한다.
□ 정보통신 인프라에는 기간 광통신망과 액세스계 광통신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 액세스계 광통신망으로 FTTH의 구축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액세스계 광통신망을 효율적으로 운용, 보수할 필요가 있으며, 차츰 이 광통신망을 효율적으로 보수하는 광통신 시험감시 시스템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 이에 따라 ITU-T SG6에서는 옥외설비에 관한 표준화업무를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광통신망의 보수기준에 관하여 검토되고 있다. 최근의 동향에 따르면, 광통신망 모니터링 기술이 관련 표준화 문서로 책정되어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1996년부터 2003년까지 8년간 전국에 걸쳐 초고속 신망이 구축되어 있으며, 2004년부터 2010년까지 7년간 전국에 걸쳐 대역통합망(BcN :Broadband conversion Network)을 구축하려고 장기계획이 수립되었으며, 이 계획을 착실히 추진하고 있다. 기존의 초고속 통신망과 신설될 광대역 통합망 중에서 액세스계 광통신망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에 필요한 기술로 액세스계 광통신망의 설치에 필요한 기술과 함께 활용에 필요한 보수 기술이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액세스계 광전산망의 모니터링 기술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IZUMITA, Hisas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4
- 권(호)
- 42(2)
- 잡지명
- 광기술콘택트(N140)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69~77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