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식품 · 특정보건용 식품의 시장동향(A Trend in Markets of Health Foods and Foods for Specific Health Use FOSHU)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서는 1980년대 후반에 기능성식품이 등장하여 1991년 특정보건용식품 제도를 법으로 제도화 한 최초의 나라이다. 2001년 4월에는 미국의 통상압력의 영향으로 미국의 dietary supplement의 미네랄, 비타민, 허브류 등을 영양기능식품군으로 포함하는 보건기능식품 제도를 실시하여 기능성식품과 dietary supplement 제품의 국제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있다.
□ 일본의 건강식품은 일반적으로 영양성분을 보급하거나 특별농도에 적합한 것으로 판매되는 식품을 의미하며, 범위나 기준 규격 등을 법률로 정하지 않고, 일본 건강 · 영양식품협회가 제정한 건강식품제품의 기준 · 규격에 따라 자율적으로 50개 품목을 설정 · 관리하고 있다.
□ 최근 건강기능식품이 세계 식품산업의 새로운 발전계기가 되고 있으며, 식품산업의 전반에 걸쳐 커다란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원재료의 7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의 경우, 기술력만 있다면 국내원료만으로도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전략차원에서 국내 식품산업의 구조개선 및 국가적 지원규모가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 특히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동양의학에 근거를 두고 있어, 한약재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를 한다면, 국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능성분의 개발이나 생약제를 이용한 개발에 초점이 모아져야 하며, 이와 동시에 안전성 및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동시에 수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저자
- H. OH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7(7)
- 잡지명
- 식품공업(A0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50~60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