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식품소재 L-carnitine
- 전문가 제언
-
□ Carnitine이 발견된 것은 오래되었으나 이물질의 결핍에 의한 질병의 치료의약으로 사용된 것은 최근의 일이며 더구나 이를 보조식품 등으로 영양제로서 인정되기는 선진국에서도 극히 최근의 일이다. 인간의 3대 영양소 중 지방은 섭취하는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가장 적은 양으로 인체 관련연구도 상대적으로 적다. Carnitine은 이러한 지방산의 세포내 흡수를 위한 운반체이므로 특히 그러하다.
□ Carnitine의 결핍으로 생기는 지방산 대사장해가 원인이 되는 질병은 지방산이 3대 영양소인 것과 같이 이것이 부족하면 또한 모든 질병의 원인이 된다. 특히 에너지생성의 원인성분이므로 근육의 대사장해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더욱이 연령 증가에 따라 carnitine의 체내생성이 감소되어 노년에 이르러 여러 가지 근육경련이나 근육통 등 노인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리라 추정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영양보조제의 개발도 연구해야 될 것이다.
□ 또한 이와는 달리 현재 과잉 영양섭취로 비만이나 여성들의 다이어트 문제가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것은 무엇보다도 과잉 지방섭취가 문제이므로 지방산 대사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으로 carnitine의 작용억제제의 개발 또한 중요한 해결과제라고 생각된다. 이상은 질병이라기보다 장해현상으로서 영양학자들의 연구분야로 생각된다.
□ 국내에서는 일반적으로 우수인력이 주로 의과계통으로 진출하여 영양학 분야가 소외된 감이 있다. 이제 예방의학적인 시대에 접어들고 있으므로 영양학 분야에 우수인재가 많이 진출하여 이들 생리활성물질 등의 연구에 영양학자가 주관이 되고 의학자와 생화학자가 협력연구를 추진한다면 인류의 건강증진과 건강한 장수에 많은 성과를 얻으리라 생각된다.
- 저자
- Kubo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6(3)
- 잡지명
- New food industry(A03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6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