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CP 도입의 현황과 향후 과제
- 전문가 제언
-
□ 식품의 안전성 대책에는 흔히 식품공장만을 그 대상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공장의 대책만으로는 어려우며, 원료의 유통, 판매, 소비단계에서 취급이 나쁘면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그 대상을 농장에서 식탁까지로 하고 있는 HACCP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소비자 보호는 물론이며 식품회사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특히 해외와의 무역거래에서는 HACCP나 ISO 9000 시리즈에 따른 심사등록이 거래조건으로 요구되는 경우가 많아, 특히 수출을 위주로 하는 식품기업은 빨리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식품업계의 국제화를 위해 HACCP나 ISO9000 및 ISO22000 시리즈의 도입은 앞으로 피할 수 없는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도 HACCP 제도에 대한 세계적 추세에 맞추기 위해 1995년에 “식품위생법”의 일부를 개정하여 “식품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을 고시하였고, 희망하는 업체에 대하여 심사 후 자율적인 인증제도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그동안 HACCP 적용대상품목으로 식육가공품 등을 비롯하여 어육가공품, 냉동수산식품 등 단계적으로 확대실시하고 있으나, 향후 미국 및 EU와 같이 HACCP 시스템의 실시를 모든 업체에 의무화하는 것도 신중히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akasaki ; Mizun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4
- 권(호)
- 43(3)
- 잡지명
- Japan Food Science(M14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21~29
- 분석자
- 김*원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