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산-아질산성질소에 의한 지하수오염의 최근동향( About Water Issues :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Nitrate and Nitrite)
- 전문가 제언
-
□ 지하수는 지상의 수자원과 달리 육안으로 감시할 없고 관정(管井)에 의한 시료채취 후 이를 분석에 의하여 수질상태도를 작성하여 관리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하수의 수질관리는 토양오염방지와 연계하여 오염예방체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 지하수 오염에 영향을 주는 질산성 질소 오염원은 주로 농업계/축산계 비료 및 폐수를 주로 한 여러 가지 오염원이 산재되어 있다. 이 것은 각종폐수에 대해서는 정화시스템으로 처리되고 있으나 홍수로 범람 시와 계절에 따라 문제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 보고되어 있는 자연정화방식은 대규모의 수질관리에 경제성과 효율성면에서도 기대가 높은 시스템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이 방식은 일부 하천정화용으로 적용하는 곳이 있으나 규모면에서나 정화실적 면에서 미흡한 상태이므로 이 부분의 집중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Norio TAS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04
- 권(호)
- 40(3)
- 잡지명
- Environment management(N01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55~263
- 분석자
- 신*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