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분야의 컴플라이언스활동- 조직은 개인의 윤리적 판단능력을 육성해야-
- 전문가 제언
-
□ 컴플라이언스(준법감시) 제도는 미국에서 시작되어, 은행과 증권회사를 비롯하여 대외 신용이 중요한 기업에서 활발하게 도입되어 많은 효과를 얻고 있다.
□ 이는 특정한 산업에서 반드시 준수되어야 하는 엄격한 규제와 지침을 수립하고 전 조직원이 수행하도록 하는 제도로서 우리나라도 분식결산, 정치권 로비, 부실자산 등의 신용문제 회복을 위해서 2000년엔 은행법을 개정하여 컴플라이언스를 도입함으로서 내부 통제기준 수립과 준법 감시인을 도입하여 은행의 리스크관리 체계를 갖추도록 하였다.
□ 또, 2001년엔 증권거래법 개정으로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준법감시 체제)을 도입하도록 하고, 일반기업에서도 치명적 대외신용도 저하를 예방하기 위해서 협의의 법규 준수 이외에 리스크 관리 체제를 갖추어 내부 통제 체제를 전반적으로 도입 중이다.
□ 이는 개인의 사소한 실수나 조직의 과오가 기업의 존망에 직결될 수도 있음에 따라, 대기업의 연결 회계 체제나 재해 복구 시스템 등에 도입되면서 점차 다른 업종에 까지 확산되고 있어 신용사회에 바람직한 움직임이라고 본다.
□ 다만, 아직 기존 감사실이나 법무실 기능조직과 개념상 혼선이 명확히 정리되어야 하며, 컴플라이언스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먼저 최고 경영자의 준법 경영 의지와 조직원의 태도 변화가 전제되어야 하며, 엄격한 제재와 함께 인센티브가 부여되는 풍토를 조성하고 궁극적으로 기업 내에서 준법문화가 정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Tana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04
- 권(호)
- 37(2)
- 잡지명
- 에너지(M15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36~48
- 분석자
- 차*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