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서 국제공항의 현황과 장래
- 전문가 제언
-
□ 한국은 국제적으로 경제적으로 생존하려면 무역, 기술, 관광 및 국제금융에서 경쟁력이 있어야 한다. 여기에 꼭 필요한 인프라(산업기반)는 세 가지다. 즉 IT, 항만과 공항이다. 공항은 정부가 갖고 운영은 민간에 맡겨야 하며, 이런 기본 인프라는 전략적으로 국가가 담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국가전략에 있어서의 기간국제공항으로 인천공항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공항회사의 경영개획의 강력한 추진과 국가와 지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이용 코스트의 적정화로서 다른 나라의 공항보다 유리하도록 하며, 고객에 대한 서비스와 편리성의 향상이며, 서울과 인천지역의 경제력 강화와 활성화가 공항의 이용도를 높이게 한다.
□ 지구촌 시대를 맞이하여 동북아시아의 관문을 지향하는 인천국제공항의 여객 터미널은 국내 최고의 기술력과 문화적 역량을 집대성한 기념비적인 건축물로 세계로 향하고 세계를 받아들이는 한국인의 기상과 포용력을 상징하고 있다.
□ 여객 터미널은 첨단장비와 충분한 편의 시설을 갖추고 공항시설의 원활한 기능을 도모하는 한편, 길고 지루한 여행을 시작하거나 마치는 여행객에게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건설되었다.
□ 인천국제공항의 고속도로는 공항이용객의 정시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감안하여 지역 간 통행기능을 배제하고 오직 인천공항으로만 가능한 인천국제공항 전용고속도로이다. 즉 고속도로로 진입하면 중간에서 김포공항이나 인천지역 등으로는 갈 수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저자
- Miyamoto Ich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618)
- 잡지명
- 산업과 전기(C06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2~23
- 분석자
- 김*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