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뢰설비에 있어서 접지방식
- 전문가 제언
-
□ 피뢰설비에서의 접지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피뢰기의 역할과 뇌 서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뇌에는 직격뢰(直擊雷)와 유도뢰(誘導雷)가 있으며, 유도뢰에는 정전유도에 의한 것과 전자유도에 의한 것이 있다.
□ 피뢰침은 뇌운(雷雲) 에너지를 낙뢰(落雷)시켜 발산시킬 뿐만 아니라 전계완화효과에 의하여 직격뢰를 방지한다. 또 전하를 공중에 방산시켜 지표면 및 시설에 대전되어있는 뇌운의 유도전하를 저감시켜 유도뢰에 의한 서지전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이 피뢰침은 직격뢰와 유도뢰의 피해를 방지하고, 뇌 서지를 완화하는 것으로 접지의 설계 및 시공은 정확하여야 한다.
□ 최근 IT시대의 전자기기는 다기능, 소형, 에너지 절감형으로 IC등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뇌 서지에 극히 취약하여 뇌해를 받기 쉽다. 그러므로 이들의 뇌해 방지를 위한 감시, 제어, 관측 등의 시스템이 필요하며 뇌해 대책의 중요성을 재인식 하여, 유효한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 접지방식에는 IEC(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규격 등이 있으나 국가별로 동일하지 않으며, 지역에 따라 배전전압, 대지전압이 상이하고 대지 저항률도 다르다. 또 도시지역, 산간지역, 하천지역 등 지역여건에 따라 상이한 접지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에 적합한 접지방식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 저자
- S. Yanagaw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4
- 권(호)
- 56(3)
- 잡지명
- 생산과 전기(A089)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8~24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