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생의공학을 위한 맞춤 환경설계(Polymers for Tissue Engineering : Toward Engineering of Tailor-made Extracellular Microenvironments)

전문가 제언
□ 최근 순수 분리된 피부성체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피부를 국내연구진이 처음 개발했다. 즉, 피부에 존재하는 줄기세포가 콜라겐에 잘 부착한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피부 줄기세포를 손쉽게 분리해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분리해 낸 줄기세포를 이용해 인공피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4형 콜라겐을 코팅한 뒤 피부세포를 배양하고 콜라겐에 붙은 피부줄기세포를 분리해 분석한 결과 기존의 방법에 의해 얻은 피부줄기세포보다 더 잘 증식하고 생존율도 훨씬 높고 인공피부를 만든 결과 사람의 피부에 더욱 가까운 피부를 형성하는 사실을 확인했다. 줄기세포를 세포치료제로 난치성 질환, 화상과 같은 광범위한 피부손상 · 창상 · 궤양 등의 피부질환을 치료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완성되면 분자의학기술을 활용하여 질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조기확인 및 새로운 진단방법을 확립하여 더욱 정밀한 의약품의 처방을 가능케 하고, 질병의 근원을 치료하는 새로운 의약품의 개발과 나아가 유전자 치료법(gene therapy)도 도입할 수 있게 되어 향후 의학은 크게 진보될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유전정보를 체계적으로 집대성하고, 종합적인 비교분석으로 생명정보체계를 해석하는 생물정보과학(bioinformatics)이 새로운 분야로 각광을 받게 되었다.

□ 의공학의 여러 응용분야 중에서 실질적으로 환자의 치료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분야가 주목을 받는 이유는 개발된 기술이나 기기가 그 동안 치료가 어려웠던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거나 혹은 좀 더 쉬운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 동안 의공학적 기술들은 환자의 치료기기의 개발이나 치료기법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으며 인공 고관절, 보청기 등 신체의 주요 기능들의 보조 및 대체 기능은 물론 특히 인공심장, 인공 폐, 인공신장, 인공 간, 인공눈 등 주요 장기의 치료나 장기 이식을 위한 가교용으로 사용되는 인공장기에 대한 개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이와 같은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이 되는 세포 특히 줄기세포의 기능유지가 필수이며 이 과정에서 세포외 마트릭스 구축과 환경조성 연구는 필연적인 중요한 과제의 하나로 생각된다.
저자
HAYASHI, Yoshitake ; SANZEN, Noriko ; SEKIGUCHI, Kiyoto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04
권(호)
53(3)
잡지명
고분자(A030)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34~139
분석자
신*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