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파장대유기발광재료의 전망(A View on Organic Light-emitting Materials in Optical Communication Wavelength Regions)
- 전문가 제언
-
□ 액정화면의 방대한 세계시장을 두고 우리나라를 위시하여 각 선진국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작금의 현상에서, 우리나라의 IT분야의 국제경쟁적 우위성을 견지하면서 부단한 연구개발의 함양은 물론이고 국가에서도 관련 과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리라본다.
□ 이제는 LCD나 TFT를 넘어서 디스플레이 응용을 향한 유기 EL 재료의 연구가 활발하여 진공증착막이나 스핀코트 막 등 고체상태에서 높은 양자수율과 내구성을 갖는 가시대의 발광재료가 넓게 개발되어 평면형 유기광 디바이스의 전망을 밝게 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의 삼성전자나 LG에서도 관련연구의 추진이나 공장 건설 등의 보도는 기술적면의 주목을 갖게 한다.
□ 또한 통신 분야에서는 근년의 동화상 정보 등의 대용량콘텐츠의 보급과 모바일 인터넷도 포함하는 인터넷 유져의 급증에 대처하기 위하여 광기술의 도입에 의한 광역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광기술의 도입은 정보가 가장 집중하는 코어 넷트웍(NW)으로부터 진행되는데, 다른 복수의 광신호를 파장다중 전송하기도 한다.
□ 최근 대용량통신의 요구는 광기술의 엑세스 NW나 홈 NW에의 도입을 가속하고 있다. 이 는 전송거리가 짧아 1,550nm 대 이외의 파장대에서 유기재료의 중요성을 증대시킨다. 전송매체도 650~1300nm 대에 의한 건물 내의 광대역광전송을 목적으로 한 불소화 고분자를 이용한 굴절율 경사형 POF(GI-POF)가 개발되어 있다. 또한 미소 광 디바이스의 실현이 기대되는 포토닉 결정형광회로의 연구개발도 급피치로 진행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서 국내 기술의 신장도 기대한다.
- 저자
- Hiroyuki SUZU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5(3)
- 잡지명
- 화학공업(A02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4~179
- 분석자
- 손*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