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접착제의 설계 : 수성형 접착제 ; 수성형 접착제의 개발동향

전문가 제언
□ 합판, 단열재 등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포름알데히드가 실내 거주자에게 눈과 코의 자극과 알레르기, 두통, 천식 등의 질환을 일으키는 새집 증후군의 주요 유발물질로 알려지면서 선진국에서는 이미 법으로 사용을 규제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건축자재 등에 사용되는 접착제와 도료의 사용 증가에 기인되는 것으로 보고, 2002년 7월에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화학원인물질 사용규제가 포함된 건축기준법 개정안이 공포되었다.

○ 일본의 건강주택연구회에서는 포르말린, 톨루엔, 자일렌 3개 품목과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목재 보존제, 방개미제 3개 품목을 최우선 사용금지 물질로 지정하는 등, 접착제에도 환경 및 건강에 대한 대응이 큰 과제로 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현재 지하상가, 보육시설, 의료기관 등 다중 이용시설의 유지기준(포름알데히드 방출량 120μg/m2)은 있으나 아파트 등 주거용에는 아직 설정돼 있지 않다.

○ 최근, 환경부는 다중 이용시설의 공기청정유지기준과 권고기준을 별도로 선정해 시설에 따라 실내 공기질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내용의 “다중 이용 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다고 밝혔다.
- 이에 따라 기존의 지하 역사나 지하 상가뿐 아니라 터미널과 도서관, 종합병원 등도 추가로 실내 공기질 대상에 포함돼 실내 생활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 특히, 인체에 해로운 포름알데히드와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 오염물질을 방출하는 건축자재도 내년부터는 사용이 제한된다.

□ 국내의 접착제 제조업체는 세계적으로 통용하는 환경대책기술과 소비자 및 주택 건자재 업체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한 환경친화형, 즉 무용제형 또는 수성형 접착제를 신속히 개발해 경쟁우위를 확보해야 할 시점이다.
저자
Hamad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23(4)
잡지명
접착의 기술(C273)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6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