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변성질환 연구에 있어서 siRNA를 이용한 유전자 발현억제(Application of siRNA to Research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 전문가 제언
-
□ 유전정보를 단순히 단백질로 변환시키는 전달자로만 인식되어 온 RNA는 2001년 small RNA가 발견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small RNA는 유전자 발현과정에 직접 관여하여 세포의 기능을 총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 이제 RNA 시대를 열었다고 하겠다. RNAi는 2중가닥의 siRNA나 외가닥인 miRNA와 같은 small RNA를 목적하는 상보적인 mRNA에 서열특이적으로 결합시켜 gene silencing을 유도하는 현상으로 그 결합특이성에 대해서는 아직 문제가 남아 있으나 지금까지의 방법에 비하면 매우 특이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 최근 한 연구보고에서는 폐렴균의 병원체인 Pneumocystis carinii로부터 유래하는 특정 RNA분자를 차단하기 위해 표적 특이성이 큰 RNA 화합물을 만들었다. 표적물질로 삼은 RNA는 인간이나 포유동물에서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표적 RNA에 상보적인 small RNA의 제작까지도 현실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결과를 실제로 응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 small RNA를 세포내로 운반하는 운반체의 역할이 결정적이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전적 질환에 대한 적용에는 바이러스성 vector를 이용하기보다는 protein transduction domain과 같은 화학적 방법 등의 전달체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RNAi를 이용한 치료나 예방측면에서 볼 때 바이러스, 병원균, 유전자치료에 뿐만 아니라 생체 모든 질환에 활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이미 선진국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므로 국내연구에서는 polymorphism에 따른 우리나라 특유의 유전질환에 대한 연구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모든 연구가 다 마찬가지지만 많은 연구비가 투자되어야 하므로 특히 이러한 생명과학에 대한 기초연구는 기업이나 사설연구소가 단독으로 할 수 있는 연구가 되지 못하므로 국가의 장기적 연구과제로 전국의 학계와 연구기관이 분업화한 체계적인 연구수행이 필수적이다.
- 저자
- Takanori Yoko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04
- 권(호)
- 21(4)
- 잡지명
- Bio industry(G28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3~51
- 분석자
- 백*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