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Perovskite형 Mn산화물의 거대전기자기효과(Ferroelectric Polarization Controlled by Magnetic Field : Giant magnetoelectric effect in perovskite rare-earth manganites)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미국 Cosaramos 미 국립연구소에 근무하는 T. Kimura씨가 강유전체의 특수한 구조에 대한 물성에 대하여 Review한 내용을 고체물리(일본), Vol. 39, No. 3, (2004)에 Topics의 형식으로 기고한 내용이다. 방대한 참고 문헌을 인용하였다.

□ Perovskite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자성체는 지금까지 많이 연구되었다. 지금도 연구할 여지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구조의 대표적인 표현은 RMX3로 나타낸다. 이 논문에서 R는 희토류원소이고 M는 망강이다. 그리고 X는 산소원자이다. 이 때 이 조성자체로도 강한 자성체를 이루고 있는데 Perovskite구조를 가진 결정체에는 작은 스트레스만 있어도 강자성유전체로 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구조이다.

□ 강자성 강유전체는 전기적인 절연성 화합물이나, 동시에 강유전성 또는 반강유전성을 가지고 있다. 압전성, 강유전성, 반강유전성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유전적 성질을 나타내는 강자성체이다. Perovskite형 자성체에는 강유전체 또는 반강유전체의 실례가 많다. YMnO3가 그 일종이다.

□ 유전체에 전기분극이나 자발분극은 일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 논문에서는 Perovskite구조를 가진 유전체의 특징을 이용해서 분극현상을 더 부각시키려고 한 것 같다. Perovskite구조에서 일어나는 자성의 물성은 그 온도, 조성원소의 종류와 함량, 결정구조, 스트레스 등 여러 요인에 의하여 변하는데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제시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이 논문은 순수한 연구논문으로 앞으로도 계속 연구가 수행되는 기초연구의 성격을 띠우고 있다.

□ 희토류원소를 Perovskite구조에 주입하여 강유전체를 만들고, 그 물성을 연구하는 과제는 오래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기관에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자성체의 개발은 끊임없이 이루어 질것으로 보인다.
저자
Tsuyoshi Ki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39(3)
잡지명
고체물리(C178)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75~186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