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부적 플라스몬 공명(Localized Plasmon Resonance)
- 전문가 제언
-
□ 표면 플라스몬은 금속과 유전체의 경계면을 따라 진행한다. 파수벡터는 유전체 내부로 전파할 수 없으며 표면에만 존재한다. 표면 플라스몬을 여기하기 위해서는 파수 벡터를 여기 할 수 있는 한계 이상으로 크게 하여야 한다. 파수 벡터를 증가시키는 방법은 높은 굴절률을 가진 프리즘을 이용하여 감쇠 전반사 시키는 방법이 있다.
□ 프리즘에 아주 얇은 금속 박막을 입혀 프리즘으로 입사하는 광자가 금속 박막을 지나게 한다. 프리즘에서 금속 박막으로 입사하는 광자는 전반사 각보다 크게 입사하면 표면 플라스몬을 여기할 수 있다. 전반사각을 지나서 입사하는 광자는 어떤 특정 각에서 금속 박막과 유전체 경계면에서 전부 흡수되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이 일어난다.
□ 표면 플라스몬은 금이나 은 등의 귀금속과 유전체 계면을 전달하는 표면 전자파로 잘 알려져 있다. 국부적 플라스몬은 평면 계면에서의 전달형 플라스몬과 달리 진동수를 일치시키면 프리즘 등을 이용한 파수 정합으로 전달광과 결합하는 국부적 플라스몬 공명이 일어난다. 최근 근접장 광학 연구에 국부적 플라스몬과 이것의 공명이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부적 플라스몬 공명에 대한 성질과 응용을 설명하고 있다. 국부적 플라스몬 공명은 매우 흥미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가장 간단한 구조인 평탄한 금속-유전체 계면에서의 표면 플라스몬의 전달 장이 긴 것이 수십μm이고, 이것은 광파이버와 비교하여도 거의 0에 가깝다. 그러므로 국부적 플라스몬 공명은 향후 나노광학 분야에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Takayuki OK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33(3)
- 잡지명
- 광학(G13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2~158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