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양론조성 LiNbO3 LiTaO3에서의 분극반전과 광학장치에의 응용(Polarization-Reversal in Stoichiometric LiNbO3/LiTaO3 and Application to Optical Devices)

전문가 제언
□ 최근에는 물성이 특이하면서 응용성이 높은 새로운 비선형 광학소자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물질의 단결정뿐만 아니라 물질 내에 존재하는 불순물의 제어에 대한 연구와 나노 크기의 구조를 만들어 양자효과를 높여서 빛의 전상을 매질 내에서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물성을 상승시키는 새로운 인공소재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강탄성체의 도메인 조작을 통해 소자의 특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비정합물질에 대한 연구와 구조적으로 중간상을 가지는 특성에 대한 연구가 대단히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압-비정합 상전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실제 응용을 위한 연구는 아직까지 별로 보고되지 않고 있다. 이것은 비정합에서의 물성 조절이 실험적으로나 이론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 주기적으로 분극반전 된 LiNbO3의 매우 큰 비선형계수를 이용하고 동시에 물질의 결합 특성을 제어하여 광 대역 OPA(Optical Parametric Amplification)를 구현하는 연구가 최근에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FG (Difference Frequency Generation)는 2개의 입력파 중에 주파수가 높은 광이 매우 강한 펌프일 경우 주파수가 낮은 약한 압력파에 의해 증폭작용을 하게 되어 이것을 OPA라고 하는데 광 증폭이 빠르고 잡음이 적어서 미래형 능동소자로 그 응용이 기대된다.

□ 고출력 파장 변환에서는 손상을 피하기 위해 큰 개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저항전계의 재료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즉 Mg:SLT를 이용한 분극반전 파장 변환장치에서 분극반전성과 파장 변환 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웨이퍼의 균일성을 개선하여 SLN/SLT에서 35㎜ 길이의 긴 장치를 실현하였고, 1㏖%의 Mg를 첨가하여 광 손상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실온에서도 슬로프효율 68%를 얻었다. 향후에도 고출력을 위해서는 장치의 개구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Sunao KURIMURA ; Kenji KITAMURA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04
권(호)
32(3)
잡지명
레이저연구(D212)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81~185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