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계 흡착제 제조를 위한 탄소화 및 활성화 기술(Carbonization and activation techniques for production of carbonaceous adsorbent
- 전문가 제언
-
□ 목탄(숯)은 그 자체가 탈색, 탈 가스 등의 흡착작용을 하는 것은 이미 17세기경부터 알려져 왔으며, 목질계 원료를 활성화시켜 흡착성능을 증대시킨 활성탄이 식품 및 약품 공업 등에서 빼어난 공업용 흡착제로서 널리 산업계에 이용되고 있다.
○ 활성탄은 주로 야자 껍질, 목재, 석탄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고온에서 소성 및 활성화 과정에서 분자 크기 정도의 미세 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이다.
○ 온도, 압력, 농도, pH 등의 물리적 조건에 따라 흡착량도 변화되며, 활성탄의 넓은 내부 표면적을 바탕으로 한 흡착 특성으로 물속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의 흡착제거가 가능하고, 특히 잔류 염소, 유기물 흡착, 탈취 성능이 우수하다.
○ 일반적으로 목탄류의 미세한 세공의 크기는 석탄계 활성탄에 비해 작기 때문에 흡착속도가 느림으로 떡갈나무 탄이나 상수리나무 탄 등을 흡착법에 의해 평가하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 지금까지의 활성탄의 주류는 분말 활성탄으로 식품, 약품분야에 이용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입상 활성탄 및 환경보존관련 제품이 크게 늘고 있고, 특히 미국에서는 생산량의 30%가 정수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도 일부 정수장에서 정수처리의 최종 단계에서 활성탄을 이용하고 있다.
- 저자
- Ikuo Abe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211)
- 잡지명
- 탄소(M021)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1~29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