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활제와 베어링 금속재료와의 상호작용 규명
- 전문가 제언
-
□ 윤활제와 미끄럼면의 사이에는 바람직한 반응과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이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표면현상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많은 종류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제약이 있으므로 완전한 해를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한 복합적인 해석이 필요하며, 금속표면반응 뿐만 아니라 유제 열화반응에 의한 표면반응 생성물의 용해현상 등 윤활제 내부의 반응에 의한 금속표면의 변화현상도 심도 있게 고찰하여야 한다.
□ 베어링 사용상의 문제점 해소를 위해서는 사용 시의 효과적인 윤활제 선택, 작업환경조성 및 효과적 분석을 통해 설계 시에 원천적으로 피로 강도, 피복층의 연성 금속 사용에 의한 수용성, 박힘성 확보, 화합물 형성에 대한 내부식성 확보, 특수코팅 등을 통한 접촉상태에서의 윤활성 및 열전달성 확보 등을 함께 이루어야 한다.
□ 최근과 같이 접촉요소간의 거시적 재료특성 및 열적효과가 마찰특성을 좌우하는 전통적인 매크로 기계시스템기술의 성장둔화와 함께 초정밀, 초미세화를 추구하는 마이크로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는 현시점에서는 극초정밀, 생산원가절감, 생산성향상, 운영비용 절감 및 복합기능 확보 등을 통한 시스템의 신뢰성확보와 장수명화를 위한 표면특성, 표면력의 정량적 분석 및 접촉표면에서의 표면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한 심층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 향후에는 기계요소의 마찰, 마모 및 윤활 측면의 연구를 통하여 요소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이와 관련된 재료의 개발과 마모현상 규명을 통하여 기계 장치류의 고품질화, 에너지절감 및 높은 신뢰성을 확보해야하며 특히, 표면반응의 심층적 연구와 효과적인 표면특성 분석을 활용하여 기계설비의 동작 기능을 운전상태(on-line)에서 계속적, 주기적으로 관찰하여 파손을 사전에 예방조치 하는 예방진단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생산량 손실 감소, 보수 유지비 절감, 자원 및 에너지절약과 함께 환경보전을 도모하는 한편 설비 및 장치의 자동화, 무인화 추세에도 부응해야 한다.
- 저자
- Minoru Fujit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57)
- 잡지명
- 윤활경제(B482)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1~47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