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MS/MEMS기술에 의한 단백질 모터의 나노/마이크로 디바이스에의 응용(Application of Protein Motors to Nanometer/Micrometer-Scale Devices with NEMS and MEMS Technology)
- 전문가 제언
-
□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또는 NEMS(Nano Electro Mechanical System)가 현재 세계적 기술테마로 각국의 연구경쟁을 전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고주파 통신, 광학기기, 대용량 저장장치, 원자 및 분자의 측정과 조작, DNA와 단백질 연구 등 미래 전략분야를 위해 필요불가결한 연구개발 도구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 이 자료에서 다루고 있는 단백질 모터는 유체기계 기술에서 다루는 전기적 모터개념이 아닌 나노단위의 단백질 분자가 갖는 미소에너지를 연구하고 그 구동력을 응용하고자 하는 BioMEMS 분야의 한 테마이다. 기계와 전기전자 그리고 바이오 분야의 융합기술 영역이라 할 수 있다.
□ 단백질 모터의 연구에 쓰이고 있는 계측 · 관찰 · 조작 기술은 이미 미소변위에서 나노미터(nm), 힘에서 피코뉴턴(pN) 단위를 취급할 수 있는 수준까지 이르고 있다.
□ BioMEMS 분야에서 지금까지 이룩해 온 이러한 연구의 성과와 미래 응용에 대한 밝은 기대들은 STM(Scanning Tunneling Microscope), AFM(Atomic Force Microscope)과 같은 나노 단위의 측정과 조작이 가능한 현미경 기술의 발전에 있다.
□ 국내에서도 BioMEMS에 대한 연구가 2000년을 전후하여 포항공대, 과학기술원, 서울대, 전자통신(연), 삼성종합기술원 등에서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이 국내 · 외 학술대회에서 발표가 되어 잘 반영이 되고 있다.
□ 앞으로 국내 연구진이 BioMEMS 분야에서 도전적 연구보고로 지적되고 있는 단백질 모터에 대한 연구가 국제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측정과 조작을 위한 고가의 현미경(최근 미국 Yale대학과 일본 Osaka대학의 국제공동연구에서 구매한 단백질 모터 연구용 현미경 가격은 대당 약 40억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정부의 지원이 필요한 과제이다.
- 저자
- OIWA Kazuhiro; KOJIMA Hiroak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9(2)
- 잡지명
- 트라이볼로지스트(A05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41~148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