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금속광조형복합가공기술의 개발(Development of Metal Rapid Prototyping Combined Working Process )

전문가 제언
□ 우리나라 금형산업은 해방 전 일본에 의해 소개되어 초기에는 신발 생산에 이용되다가 플라스틱의 등장과 함께 플라스틱 금형이 금속하게 확대되었다. 1970년대에는 산업용 금형의 도입으로 금형업계가 활성화 되었으며 1980년에 와서는 금형공업의 학문적 체계 정립과 국가 기간산업으로 육성되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크게 향상되었고 또한 정밀도 향상을 위한 공작기계 및 CAD/CAM시스템이 도입되었다.

□ 1990년대 우리나라의 금형산업은 특수 금형도 국내제작이 가능하게 되었고 1992년을 기점으로 금형수입국에서 금형수출국으로 역현상을 일으켰다. 금형은 재료가 가지고 있는 물성을 활용하여 성형가공 하는 방법이다. 원하는 제품을 얻기 위해 제작한 금속 소재의 틀을 이용한 금형은 비절삭가공으로 부품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 최근에는 설계에서 제조에 이르는 전 과정을 컴퓨터로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술인 CAD/CAM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CAD는 설계 DB 정보로부터 합성하여 설계하기 때문에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CAD로 설계된 설계도는 CAM을 통해 공작기계에 정확한 작업동작을 지시하기 때문에 작업속도와 제품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3차원 CAD/CAM의 개발은 화면에 3차원으로 재현할 수 있어 대상물의 형태와 물성을 자동으로 계산하고 최적형태로의 설계와 제조가 가능하게 되었다.

□ 본고에서는 금형에서 금속분말 가공법을 채택하여 기존의 방법으로는 불가능하던 프로세스 가공의 실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초단기납부와 낮은 코스트의 금형제작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마무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가공기술 확립과 3차원 CAD와 금속 광 조형기술의 결합으로 디자인과 생산에 이르기까지 구체적인 엔지니어링시스템 구성과 과감한 상품개발 기간 단축을 강조하고 있다.
저자
H. Tohgeyama ; Y. Hig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45(2)
잡지명
소형재(E127)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9~43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