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 플랜트의 가용성
- 전문가 제언
-
□ 신인성을 확보하는 방법은 기존의 시스템을 먼저 검토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기준에 도달하려면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고, 그때의 상태는 인정된 시스템과 자주관리를 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추진하는 방법은 TPM이다.
□ TPM은 자주보전, 계획보전, 개별개선, 품질보전으로 구성되며, 환경과 정보의 보전도 함께 장기적으로 추진하며, 달성 후에는 유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교육훈련을 지속적으로 하여 충분한 인력을 보유하여야 할 것이다.
□ 이 분석보고서에는 효율의 개선과 기법을 적용하여 만족할만한 성과가 있다고 되어있다. 또한 데이터에 의한 확률과 아울러 몬테카를로 기법을 활용하여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프로세스 플랜트를 갖고 있는 회사 이외에도 신인성을 향상시켜 공장의 설비종합효율 높여야 한다. 최근에는 사용 용어가 표준화 되여 다소 다르므로 관련된 엔지니어들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 예측적해석수법과 몬테카를로 기법은 확률과 등급에 의한 관리방법이며, 통계에 의한 기법은 데이터를 기초로 한다. 현재는 고장 mode의 영향해석을 관련된 회사에서 최종적인 개선기법인 FMEA(Failure Mode Effect Analysis)를 적용하여 많은 개선을 하고 있기에 향후 이부분의 발전을 기대한다.
□ 만성 로스(loss), 이것은 회사의 문화하고도 관련된 것으로 보는 사람의 눈에 따라 다르게 보인다. 선행적 검토가 미흡하다면 이 부분을 제대로 직시하여 개선하면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Nobutoshi Kugou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4
- 권(호)
- 46(4)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9~34
- 분석자
- 김*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