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화비닐관의 리사이클 시스템과 3층관의 개발

전문가 제언
□ 플라스틱은 석유화학공업의 발전과 더불어 전 세계적으로 그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생산량이 세계 4위를 점하고 있다. 플라스틱제품 수요증가에 따라 폐플라스틱의 발생량도 크게 늘어난 실정이나, 폐기될 경우 저급 제품생산에 소량이 재이용되고 많은 양이 소각 또는 매립 처리되고 있다.

□ PVC의 리사이클은 재료 리사이클(Material Recycle), 원료 및 연료화 리사이클(Chemical Recycle) 및 에너지 회수 리사이클(Thermal Recycle)로 분류된다. Material Recycle은 사용을 마친 PVC 제품 등을 다시 PVC제품으로 재 생산 이용하는 것으로, PVC관이나 이음매(fitting 류), 전선피복재, 농업용 비닐 등의 폐재료 등이 다시 제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 일본의 PVC관 및 이음매 협회는 PVC관 및 이음매의 재활용을 추진하기 위해 폐재료에서 회수 재이용되는 경질 PVC관의 규격을 제정하고 재료 리사이클 비율을 2005년에 폐재료의 80%까지 달성할 것으로 목표로 회수 재이용을 추진하고 있다. 본문은 일본의 합성관 제조업체인 구보다社가 회수된 PVC 폐재료에서 하수도 설치 및 건물의 배수관 용도의 규격에 부합하는 재생관을 개발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PVC관을 3층 구조로 하여 중간층에 리사이클 재료를 삽입하여 외관이나 성능 면에서 이상이 없는 배관 및 이음매 생산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하고 있다.

□ 리사이클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경제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생품은 외관, 성능 및 가격 면에서 신제품과 유사하거나 우수해야 한다. 배관 및 이음매를 3층관 구조로 하여 재생 재료를 중간층에 이용하는 기술은 국내 재생 업체에서도 성능 유지와 경쟁력 확보 면에서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Masatoshi Furubayash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4
권(호)
46(4)
잡지명
배관기술(A057)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5~80
분석자
이*옹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