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산과 황산에 강한 저합금 용접 재료 : 신 S-TEN<R>1강의 용접 재료
- 전문가 제언
-
□ 최근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황산화물과 염화수소가 함유된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처리를 강화하고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환경설비의 고효율화가 요구되면서 쓰레기와 하수찌꺼기 등을 처리하는 소각로의 배출가스 처리설비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재와 용접재료의 고급화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 신S-TEN1 강재와 이에 맞추어 개발된 피복아크 용접봉(ST-16M)과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SF-1ST) 용접재료의 합금조성을 살펴보면 용접시 저온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C의 함유량을 낮추어 용접성을 확보하고 내식성을 높여주는 Cu, Sb와 같은 합금성분을 첨가하여 설계하는 경향을 보였다.
□ 염산 산세조와 같이 용접금속의 선택적인 부식이 현저하게 발생하기 쉬운 침적환경과 배기가스의 급속냉각/저온배출에 의한 염산 노점부식 환경에 놓인 구조물, 그리고 염화수소와 소석회의 반응 생성물인 CaCl2가 장치 내면에 부착하여 강판의 계면이 염산 분위기로 되면서 용접이음부가 급격하게 부식되는 분위기에서 가동되는 용접구조물에 요구되는 용접품질은 소정의 내식성과 함께 일정수준의 용접성을 갖추어야만 용접결함이 없이 실구조물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부가가치가 높은 내부식구조물용 용접재료를 개발할 때는 용접모재와 용접시공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런 면에서 본고에서 제공하는 기술 정보는 향후 환경설비의 염산과 황산환경에서 내식성이 우수한 용접이음부를 갖는 용접구조물 제작을 위한 용접재료의 내실있는 연구개발에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azuhiro Kojima ; Akira Usam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6(4)
- 잡지명
- 배관기술(A057)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1~45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