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독소센서의 개발(Materials for Biosensors)
- 전문가 제언
-
□ 생체반응에 대한 측정과 분석은 반응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이 특징이다. 왜냐하면 생체반응은 대부분이 반응시간이 일반 화학반응에 비하여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으로는 일의 결정이 장시간을 요구하는 사안들에서 탈피하여 신속한 결과를 구하기를 갈망하며, 결정의 판단이 빠르면 빠를수록 얻게 되는 부가가치는 늘어날 것이다.
□ 생체반응에 수정진동자를 이용하는 센서 기술은 여러 가지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것이 보이며, 수정진동자상에 고정시킨 단백질과 검출코자하는 상대물질(독소)의 선택적 반응성이 문제로 될 것으로 생각된다.
□ 그러나 센서기술은 선택성의 문제에서는 항상 제기되는 화두이며 따라서 연구의 가능성이 많이 존재함을 얘기하는 것이고, 개발성취의 공간을 제공한다고 본다. 바이오센서는 일본이 앞서 있으며 국내기술의 분발도 기대한다.
- 저자
- Ai Kaneko ; Hirotaka Uzawa ; Norihiko Mino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1(1)
- 잡지명
- 재료과학과 공학(C22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15
- 분석자
- 손*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