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희토류 킬레이트형광 라벨제의 개발과 생명과학으로의 응용(Development of Lanthanide Chelate Fluorescence Labels and Their Application to Life Science)

전문가 제언
□ 이 글은 일본 Waceda대학에 근무하는 J. Yuan교수, K. Matsumodo교수에 의하여 Review한 내용을 Materials Integration Vol. 17, No. 3 (2004)에 기고한 내용이다. 참고 문헌의 대부분은 일본 것을 인용하였다. 형광물질의 추적자를 이용해서 물질내부의 상황, 특히 인체내부를 밝혀내는 연구와 응용은 어떤 다른 나라보다도 일본이 앞서가고 있다.

□ 이 논문은 형광수명을 이용해서 생명과학에 표식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라벨을 희토류원소의 착화합물에서 찾고 있다. 형광은 Luminescence의 일종으로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종래에는 여기를 차단한 후에 잔광이 없는 경우를 형광이라고 하고 잔광이 있는 인광과 구별하였으나, 현재에는 발광기구에 의하여 정의하는 수가 있다. 그런데 그 정의는 발광체가 유기물인지 무기물인지에 따라서 다소 다르다. 원자나 2원자분자의 기체 및 무기물의 결정의 경우에는 잔광의 시간변화는 전자의 발광에 직접 관여하는 여기상태의 수명으로 결정한다. 잔광의 길이는 10-9~10-1s이며 지수함수로 감쇄한다. 유기물의 경우에는 다중도가 같은 스펙트럼항 간의 천이로 인한 발광으로 정의한다. 잔광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10-9s~10-5s이나 때에 따라서는 10-3s~1s정도로 긴 것도 관측된다.

□ Eu3+, Tb3+의 착화합물 BCDOT, BCOT, BHHCT 등의 형광라벨을 개발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제조방법에 대한 언급은 없다. 다만 시간분해 형광 측정을 한 결과 종래방법보다 시료측정기구나 환경잡음을 크게 줄이고 장 수명형광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감도가 매우 뛰어나다는 것이다. 그리고 연구 개발할만한 가치가 보인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 희토류착화합물에서는 각 사이클에서 형광의 감쇄곡선이 완만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측정시간이 비교적 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희토류 킬레이트형광체의 개발은 그 역사가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생명공학의 발달로 최근 이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기관에서 연구결과의 축적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Jingli YUAN ; Kazuko MATSU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17(3)
잡지명
Materials integration(E136)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5~49
분석자
박*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