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형광체 연구의 개괄(An Overview of Research on Rare-Earth Phosphors)
- 전문가 제언
-
□ 희토류 발광체는 최근의 IT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평판 디스플레이의 진보나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개발 등에 의해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다.
○ 현재는 CRT용 형광체 기술은 성숙단계에 있으며, TBL의 경우에도 제품생산이 성장단계에 있다. 한편, PDP용 형광체는 초기단계로 휘도 및 수명의 증진에 관한 연구와 소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첨단 소재의 필수 원료인 희토류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 우리나라의 디스플레이 생산업체들이 형광체를 자체 수급하기 위해 일부를 제조하였으나 고성능의 형광체는 아직까지는 수입 의존성이 높다.
- 특히, 희토류계 원료는 국내 생산이 전무하고 고가이며, 일부 국가들만이 자원을 가지기 때문에 중국, 우크라이나 등 희토류 원료 생산국들과의 교류 및 협력에 의해 희토류계 원료의 안정적 확보도 필요하다.
○ 희토류 생산국들은 전략적인 차원에서 수출규제와 기술이전을 기피하여 이에 대응하기 위한 자원확보 및 기능소재의 개발이 시급하다.
□ 우리나라에 매장되어 있는 희토류 원료 광물(monaxite)은 대부분 강이나 바다 등의 모래 중에 함유된다.
○ 희토류 금속 소재 관련 산업은 광물탐사로부터 소재 및 부품산업화 단계까지 단위기술, 분석 및 평가기술, 복합 엔지니어링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최첨단 선진국형 기술로서 산, 학, 연, 관의 협동체계의 연구가 필요하다.
○ 희토류 금속 소재의 안정적 수급은 첨단산업의 근간이므로 경제적 논리에 전적으로 맡겨둘 수 없으며, 장기적 비전을 갖고 정책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 저자
- Hajime Yam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17(3)
- 잡지명
- Materials integration(E136)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9
- 분석자
- 황*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