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 산질화막/Si(001) 계면연구의 최근의 전개 (Atomic Structure Analysis of SiO2/Si and Si3N4/Si Interfaces)
- 전문가 제언
-
□ SiO2/Si(001) 계면에서의 산화기구는, 기판방향으로 산화가 불규칙하게 일어나서 결정의 SiO2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결정의 SiO2/Si 계면에서는 기판방향으로의 산화가 억제되는데 그 이유는 이 계면에 큰 격자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 고분해능(高分解能) 전자현미경의 최대 특징은 물질의 국소(局所)구조의 연구에 적합하므로 결정의 계면 및 표면의 관찰은 지금도 재료의 국소영역의 평가기술의 중심으로 되어 있다. 최근의 고분해능 투과형전자현미경(HREM)의 분해능은 1~2Å에 이르렀다고 하므로 국소영역의 평가도 곧 이러한 수준으로 실행될 것 같다.
□ HREM법으로 국소조직을 관찰하는 방법을 단면 투과전자현미경법이라고 하는데 이방법의 결점은 시료의 두께방향으로 凹凸(원자의 포개짐)이 있으면 상의 해석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국소구조의 X-선 회절실험도 동시에 실시하여 실험결과를 고찰할 때 X-선 회절법과 상호 보완하는 평가연구가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Nobuyuki Ikarashi, Koji Watanabe, Yoshiyuki Miyamoto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43(2)
- 잡지명
- Bulletin of the Japan institute of metals(N103)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8~112
- 분석자
- 오*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