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키지로 보는 재료 기술과 성형 기술 : 포장 재료의 고기능화와 성형 기술의 동향
- 전문가 제언
-
□ 일본에 있어서 최근 10여년 간의 프라스틱 사용 중 포장에 이용되는 액수는 2002년에 출하 금액으로 25%를 차지하고, 전 고분자 중 32%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90년대 초반부터 사용량의 감소는 일본 경제의 장기 불황을 나타내면서 환경지향적인 프라스틱의 사용에 대한 법제화(1999년에 법제화)를 반영한다.
□ 가장 큰 변화는 환경 문제와 결부된 비염소계 포장의 확대로 인한 PVC계의 지속적인 감소와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PET계를 대별할 수 있다. 하지만 2002넌 총 열가소성 수지 중 46%가 LDPE, HDPE, PP 등 올레핀이 차지하고, PVC 18%, PS 10, PET 6%를 점한 모습이다.
□ 식품 및 음료 등 건강과 관련된 포장이 주이기 때문에 가스차폐(수동형)와 가스를 제어(능동형)하는 포장 재료의 발전과 기술이 상당히 진척되어 실용화되고 있지만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전이 요구되고 진전될 것이다.
□ 변화하는 미래사회의 요구에 응하여 좀 더 개성적인 포장과 세계가 하나라는 인식에 맞는 포장방법, 그리고 환경에 적합한 포장 재료의 발전이 좀 더 시급한 과제가 아니겠는가. 이러한 문제들의 돌파구를 NANO COMPOSITE가 일부 해결 시킬 가능성이 있다.
- 저자
- Tadahiko Katsur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4
- 권(호)
- 50(3)
- 잡지명
- Plastics age(D045)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68~80
- 분석자
- 임*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