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건축용 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상항(Progress in High Strength Concrete for Building Construction)

전문가 제언
□ 고층 건물에서 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철골 구조보다 강풍에 진동이 적고 방음 성능도 높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로 고층 건물을 건설할 경우 아래층의 기둥에 하중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기둥이 너무 굵지 않으면서 견디기 위해서는 강도가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가 필요하게 된다.

□ 콘크리트 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멘트에 물의 함량을 적게 하면 강도를 높일 수는 있으나 물을 너무 줄이면 유동성이 적어져 콘크리트를 성형 틀 안에 투입하기가 쉽지 않아 시공성이 나빠진다. 이에 대처해서 고성능 AE 감수제의 개발이나 실리야 퓸(silica fume) 이용으로 시공성이 좋으면서 강도가 높은 고강도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과 적용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 고강도 콘크리트의 고층 건물에 대한 적용 강도는 1970년대 초에는 18층 기준으로 29.4N/㎟기 사용되기 시작하여 1980년대 후반에는 60N/㎟의 콘크리트가 사용되었고 1997년에는 설계 기준 강도 98.1N/㎟가 사용되었으며 2002년 말 현재 56층 건물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 고층 주택 건물에 100N/㎟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향후 150N/㎟ 고강도의 콘크리트도 개발되어 80층 철근 콘크리트구조 고층주택 건설도 기술적으로 가능할 수 있다.

□ 고성능 AE 함수제의 개발로 물과 결합재 비율을 20% 이하로 하여도 시공이 가능한 유동성의 콘크리트 제조가 가능해졌고 결합재에 VKC100SF를 사용하여 물과 결합재 비율을 15%로 한 콘크리트 기둥을 만들어 코어 강도 170N/㎟ 이상을 얻었다. 이 정도면 설계 기준 강도 150N/㎟에도 공급할 수 있다. 설계 기준 강도를 150N/㎟를 채택하기 위해서는 강도 뿐 만아니라 성능이나 내화성도 확인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고층 건물에 사용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강도에 대한 신장은 대단히 빠르고 멀지 않아 100N/㎟가 넘는 콘크리트 사용이 일반화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저자
Mitsutaka HAYAKAWA ; Satoru NAMIKI ; Hiroshi JINNAI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3
권(호)
52(12)
잡지명
재료(A054)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45~1449
분석자
오*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