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박막 형성 기술과 용도 전개 : 휴대전화의 주파수 에어리어 확대를 위한 수정 박막의 생성 기술
- 전문가 제언
-
□ 국내에는 천연수정 자원이 빈약하므로, 연구실규모의 인공수정을 합성하여 물성측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수정진동자용에 대한 기초 및 응용연구는 큰 진전이 없는 것 같다. Nonaka의 연구는 수정진동자용으로 수정의 벌크결정을 수열합성법으로 생성하여 연마공정에 의해서 얇게 연마 가공한 것이 아니라, 미리 필요한 두께의 수정박막을 생성하여 휴대전화나 기타 통신기의 고주파용 진동자를 염가로 제조하려고 시도하였다. 얻어진 수정박막은 공진특성과 발진 주파수대가 우수한 수정진동자라고 하므로, 경제성과 에너지절약 면에서 볼 때 괄목할 만한 연구 성과라고 생각된다.
□ 인공합성(人工合成)한 수정을 진동자로 사용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주파수 온도특성이 천연수정과 동일해야 한다는 것과 CT, DT 등 여러 절단면이 있지만, 예컨대 AT 절단면을 선택할 경우, 수정결정의 z축으로부터 35°정도의 정밀한 절단각도가 요구되는데 이 절단각도로부터 조금만 벗어나도 온도특성이 변화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 압전기(壓電氣)현상을 나타내는 결정은 많지만 수정만큼 온도특성 및 전기적으로나 기계적 진동의 손실이 적은 재료는 없기 때문에 수정진동자는 전자 통신기의 중추(中樞)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전자 통신기의 발전에 따라 수정진동자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고도의 품질을 요구하고 있다.
□ 결정성장이론의 발전과 더불어 구조결함(構造缺陷)에 관한 연구가 수정에도 적용되고 있는데, 양질의 인공수정의 선상결함(線狀缺陷)은 102~105/cm2정도라고 보고되어 있지만 다른 종류의 결정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또한 진동자에 적합한 크기나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결정면의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하자원이 빈약한 국내사정을 감안할 때 수정처럼 중요한 결정성 광물의 인공합성 및 결정박막의 생성연구에 대하여 더욱더 노력이 필요한 때라고 생각된다.
- 저자
- Satosi Nonaka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3)
- 잡지명
- 공업재료(A028)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38~43
- 분석자
- 오*동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