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에서의 용접시공(Welding in Shipbuilding)
- 전문가 제언
-
□ 조선분야에서 용접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우리의 경쟁 상대인 미국, 유럽과 일본에서 조선 용접기술의 고급화와 자동화를 위한 용접장비와 용접재료 및 프로그램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앞으로 선박의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용접기술에 대한 국내의 연구개발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수만 개의 철강부품으로 만들어지는 900km 정도의 선박 용접부의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용접검사 시스템을 철저하게 운영해야 한다. 또한 고임금 시대를 맞아 선박의 용접 공정 분야 종사하는 수천 명의 인원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생산설비의 자동화가 시급한 시점이다. 여기에 대응하여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동용접기의 고기능화 내지는 자동화기술이 발달할 것이며 특히 곡선부와 복잡한 부위에서 센싱 및 용접적응제어기술을 동반한 로봇과 다전극 용접시스템에 대한 기술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것으로 보인다.
□ 조선분야의 용접은 대입열 용접부와 CO2 용접부의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선이 이루어질 전망이며, 동시에 숙련용접사의 고령화와 젊은 작업자의 감소라는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용접 로봇을 이용하는 생산 자동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고에서 소개한 기계화, 자동화에 대한 적용 예와 앞으로의 동향에 관한 전망은 유익한 자료로 판단된다.
- 저자
- Toshihiro Ohmor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3)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15~120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