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출력 화이버 레이저의 개발과 응용(Development of High Power Fiber Lasers and Their Application)
- 전문가 제언
-
□ 고출력, 고효율, 양호한 빔 특성, 작은 용적률 등의 특성을 갖고 있는 고출력 화이버 레이저는 전기, 정밀기계, 통신 산업, 우주 항공기 산업 등에서 정밀 이음부를 접합할 때 용접 생산성이 뛰어나고, 용접부의 품질이 우수하여 선진기술국에서는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일본의 Osaka대학교에서는 단일 모드 고휘도 Yb 화이버 레이저를 이용하여 금속 박판을 고속으로 키홀 용접하는 기술을 발표하였다. 이 경우, 빔 스폿의 직경이 용융지의 크기보다 작아서 키홀이 안정되고 고속으로 빔 용접을 하여도 험핑(humping) 등의 용접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 미국의 Coherent사는 반도체 레이저 조사와 역방향 열전도 용접법(Reverse conducting welding)을 이용하여 투명수지 기판 위에 얇고 투명한 수지 필름을 용접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 펨토초 레이저에 의한 비선형 효과와 미소한 구/침 등을 넣어서 얻는 근접장 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투명한 세라믹과 폴리머 등을 초미세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기술이 각국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독일 AXO Dresden사는 레이저 박리(ablation)에 의한 박막 형성법의 일종인 PLD법을 개발하여, 직경 6인치까지의 대구경 다층막 X선 거울을 PLD법으로 실용화하였으며 막 두께 제어성과 균일성 등을 현저하게 개선하였다.
□ 전기, 전자, 정밀기계, 통신 산업에서 세계의 선두 그룹에 속해 있는 우리나라는 레이저 가공기술과 같은 첨단 생산기술의 개발을 강화하고, 산업계 및 학계에서 개발한 연구 성과를 적극 활용하는데 힘을 기울여야 한다. 본고에서 제공하는 “고출력 화이버 레이저의 개발과 응용”에 대한 정보는 부가가치가 높은 레이저 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좋은 참고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Katsuhiko Nakatani
- 자료유형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4
- 권(호)
- 52(3)
- 잡지명
- 용접기술(A114)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08~114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