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종재료의 점용접(Trend of Resistance Welding : Resistance Spot Welding for Dissimilar Metal Sheets)

전문가 제언
□ 최근 특성이 서로 다른 이종금속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종금속간의 접합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 합금은 질량이 가볍고 비강도가 높아서 자동차와 철도차량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탄소강과 같은 구조용 이종금속과의 접합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접합하려는 용접모재에 압력을 가하고 전류를 흘려 두 모재의 접촉부에 발생되는 저항 열을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저항 점용접 공정은 용접 후 열에 의한 용접모재의 변형이나 잔류응력이 작고 가압에 의한 효과 때문에 용접부의 금속조직이 매우 양호하며 작업속도가 빠르고 대량생산에 적합하므로 일반 산업체의 박판(6mm 이하) 용접공정 및 자동차 차체 용접공정에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다. 그러나 저항 점용접은 짧은 시간에 용접전류/전압, 전극 가압력, 용접재료의 표면상태 등의 용접공정 변수들이 서로 연관되어 발생되는 용접모재의 탄-소성 변형과 상변화와 같은 열/물리적 현상을 수반하므로 알루미늄 합금 박판 등을 접합할 때는 각 용접변수의 미세한 변화에 민감한 용접품질을 제어하여 용접의 고속도화, 용접결함의 억제와 같은 효과를 얻어야 한다.

□ 단일 알루미늄 합금이나 철강 재료에서 얻어지지 않는 새로운 기능이나 고도의 성능을 발휘하는 복합기능을 얻을 수 있는 이종금속의 용접·접합 기술의 활용에 있어서 이종금속 접합부의 계면에서 생성되는 취약한 합금층은 용접으로 접합된 이종금속 제품을 사용하는데 커다란 제약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향후 이종금속의 용접·접합 기술개발에서 반드시 극복해야 할 기술과제이다. 이런 면에서 알루미늄 합금을 보온하여 주고 또한 점용접에 필요한 열량의 공급원 기능을 하는 커버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저항 점용접을 하는 새로운 접합기술에 관한 내용은 매우 유익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저자
Shinobu Satonaka, Toshiharu Fujioka, Kei Tsuk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52(3)
잡지명
용접기술(A114)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2~86
분석자
김*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