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51층 초고층아파트,의 최대단면 CFT기둥 콘크리트압입(CONSTRUCTION OF SUPER HIGH-RISE CONDOMINIUM WITH THE DOMESTIC MAXIMUM SIZE CFT COLUMNS)

전문가 제언
□ 고층아파트와 초고층아파트의 구분은 시대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나라에서 초고층아파트의 효시는 서울 남산 외인아파트일 것이다. 1972년 당시로는 상상을 초월하는 16층 1개동, 17층 1개동의 초고층주거용 건물이었다. 지금은 20층 이상의 아파트를 흔히 볼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30층 이상은 되어야 초고층이라고 할 수 잇을 것이다.

□ 공동주택인 아파트는 국내 주택공급량의 약 2/3을 차지하는 대표적인 주거양식은 벽식의 철근콘크리트 구조가 일반적이었으며 1990년대 후반부터 철골구조 아파트가 등장하게 되었다. 25~30층 정도의 아파트에 대해서도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방식이 기술적으로 안정성을 담보하고 있지만 구조벽체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건물자체의 강성확보를 위해 벽량을 증가시키는 등의 구조적 비효율성이 노정되어 새로운 구조방식이 필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 철근콘크리트 벽식 구조 아파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등장한 것이 철골조 아파트이며 현재 서울에 산재하는 40층 이상의 초고층아파트는 철골조 구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 새롭게 소개되고 있는 CFT조는 일본에서 처음 도입된 초고층아파트 구조법으로 원형단면 또는 사각형단면을 가진 강관에 콘크리트를 채워 넣어 강성과 내력을 향상시키는 시공법이며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크기 때문에 초고층건물과 긴 스팬을 가진 건물에 유효한 구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수도권의 인구집중, 도심의 지가상승 등 고층화, 고밀화 추세는 가속화될 것이므로 초고층아파트가 주거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초고층아파트의 구조법으로 CFT (콘크리트충전 강관구조) 공법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저자
Tatematsu ; Takami ; Nakamoto
자료유형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4
권(호)
(684)
잡지명
Cement and concrete(A105)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0~17
분석자
유*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